카테고리 없음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만기금액, 중도해지 정리

민차장 2024. 6. 2. 13:54

청년도약계좌 가입조건, 만기금액, 중도해지 정리

 

 

청년들이 목돈 마련을 위해 정부에서 출시한 청년도약계좍 벌써 1주년이 되었습니다. 출시할 이후로 지난 4월까지 약 123만명이 가입할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는 정책 금융 상품인데요. 

 

만기 시 약 5000만원의 목돈 형성이 가능한 상품으로 청년들의 관심을 끄는 상품입니다. 또한 일반 은행의 적금에 가입하는 것보다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최대 약 6.9%~8.9% 의 이자를 더 받을 수 있으니, 가입조건에 해당되시는 분은 꼭 가입하시길 추천드리는 제도입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하기
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축적과 경제적 자립을 돕고자 2023년 6월 출시된 금융상품입니다.

 

가입조건

- 만 19~34세 청년 (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미적용)

- 개인 소득 요건 : 근로소득 6000만원 이하, 종합 소득 4800만원 이하

- 가구 소득 요건 :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

 

 

만기 수령금액 및 혜택

청년도약계좌에 5년간 매월 70만원 씩 성실히 납입하는 경우 약 5000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
시중 적금상품 대비 2~2.5배의 수익률을 거둘 수 있습니다.

반드시 매월 70만원을 납입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. 매월 1000원~70만원까지 납입금액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신청방법

가입은 비대면으로 진행되며 매월 가입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. 청년도약계좌를 운영하는 11개 은행 앱 통해서 비대면으로 신청하면 됩니다.

신청을 하면 비대면으로 소득 심사가 진행되고 결과에 따라 은행에서 가입 가능 여부를 안내해줍니다. 가입 가능 안내를 받은 청년은 신청한 은행 앱을 통해 청년 도약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.

 

6월 3일 ~ 6월 14일까지 가입 신청 기간이며, 가입 가능한 사람은 아래의 기간동안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.

1인 가구 : 6월 20일 ~ 7 월 12일

2인 이상 가구 : 7월 1일 ~ 7월 12일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중도해지

중도에 해지할 경우 정부기여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은 부여되지 않습니다. 다만 청년들이 긴급한 자금수요에 직면할 가능성을 고려해 특별중도해지 사유로 계좌를 해지하는 경우 정부기여금 및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.

 

3년 이상 계좌를 유지한 경우에는 중도해지하더라도 중도해지이율이 청년도약계좌 기본금리 수준(3.8~4.5%)으로 적용되고 이자소득 비과세 및 정부기여금 일부수령(60% 수준)도 가능하도록 개선될 예정입니다.

 

3년만 가입하더라도 연 6.9%의 일반 적금 상품에 가입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자주 묻는 질문

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자주 묻는 질문을 상단에 정리해두었습니다. 만기일을 앞 당길 수 있는지, 청년희망적금 연계는 어떻게 하는지, 청녆늬망적금과의 차이점은 어떤 것이 있는지, 가입 요건 확인 중 제출해야 할 서류는 어떤 것이 있는지 상단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
 

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만기금액, 중도해지 정리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.

 

 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에 해당되는 분들은 가입기간 놓치지 말고 꼭 가입하셔서 목돈 형성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.

반응형